주식계좌에 현금이 없어도 매수할 수 있다. 바로 대용금을 사용하면 가능하다. 물론 대용금은 자신이 매수한 주식이 있어야 발생하여 사용 가능하며 주식 담보 대출과도 같은 개념이다. 주식 대용금에 대해서 알아보자.
주식 대용금이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 등의 유가증권을 일정한 비율만큼의 금액으로 환산한 금액으로 주식 주문 시 현금을 대신하여 일부 증거금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전일 종가의 70~80% 정도 선에서 가격이 매겨진다.
즉, 현재 당장 주식을 매수할 금액이 없는 상태인 상황에서 현금이 없지만 대용금으로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것이다.
내가 가진 주식을 담보로 다른 주식을 매수 할 수 있는 것이다. 대용금이 얼마인지 본인이 상환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여 대용금으로 주식 매수를 해야 한다.
대용금 사용 예시
내가 가진이 주식이 현대자동차 10주라고 가정해 보자. 전날 현대자동차의 종가가 10만 원이라고 치면 내가 보유한 주식의 가치는 100만 원이 된다. 위에 언급한 것처럼 대용금은 전일 종가 기준으로 70~80% 매겨지므로 80%로 계산하면 80만 원이 된다.
내가 매수할 수 없는 현금은 없지만 대용금 80만원이 있는 셈이다. 따라서 다른 주식을 80만 원어치를 매수할 수 있게 된다. 대용금으로 매수한 이후 영업일 기준 2일이 지난다면 80만 원을 상환해야 한다.
대용금 사용시 주의 사항
대용금은 보유한 주식을 담보 형태로 빌려서 매수하는 것이므로 대용금을 이용한 매수 했을 때 2일 뒤에는 반드시 갚아야 한다. 해당 금액을 갚지 않았을 때는 대용금을 이용하여 매수한 주식은 강제로 청산된다. 강제로 청산할 때는 전일 종가 기준으로 매도한다. 즉, 대용금으로 매수한 주식이 이틀 이내에 떨어진다면 손해를 볼 수 있다는 뜻이다.
대용금으로 매수 할 수 있는 종목은 제한된다.
관리종목, 정리매매종목, 투자유의 종목은 대용금을 이용하여 매수가 불가하니 이점 확인하여 이용하여야 한다.
대용금의 비율 또한 코스피, 코스닥 종목인지와 우량주인지에 따라서 다르게 비율이 책정된다. 따라서 대용금 사용 시 강제로 청산될 수 있는 점과 종목마다 다르게 비율이 책정되는 것을 확인하여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