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린이의 예수금 증거금 경험을 녹인 정의 알아보기

by ⨋⨈⨞↻↱↮↭↚↥↹Ψυ 2021. 6. 10.
반응형

 

주식을 하다 보면 생소한 용어들이 많이 보입니다. 주식 거래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자주 보이는 용어 중에 하나인 예수금과 증거금 있습니다. 이 용어들에 대해서 정확히 알지 못하게 된다면 주식 거래에 있어 혼선을 빚게 됩니다.

그럼 주식 거래 시 보게 되는 예수금과 증거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예수금이란? 증거금의 정의

예수금이란 사전적인 정의를 살펴보면 금융기관이 일반 대중 또는 기업, 공공기관 등 불특정 다수로부터 일정한 이자지급 등의 조건으로 보관. 위탁을 받아 운용할 수 있는 자금으로 나와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주식 현물을 매수할 수 있는 금액을 뜻합니다. 

 

 예를들어 내 주식 계좌에 들어가 보면 예수금이 100만 원으로 확인된다면 특정 주식 종목을 100만 원에 맞춰서 매수가 가능한 것입니다. 

 

 

예수금=출금가능금액? NO!

 주식을 처음 시작 하시는 분들이 예수금에 대해서는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금액이구나라고 금방 인지 하십니다. 

그렇게 주식을 매수 할 수 있는 금액은 예수금이니까 출금 가능금액과 동일한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꽤나 있습니다. 이는 증거금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확실히 인지를 못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제 개인적인 경험을 말씀드리면 주식 계좌 잔고에 보이는 예수금을 출금 가능 금액으로 착각하여 출금 신청을 했더니 예수금과 일치하지 않은 적이 있어 당황하였습니다. 이는 매수한 종목 중 증거금으로 매수하였기 때문에 예수금과  출금액이 일치하지 않았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증거금이란? 증거금의 정의

 증거금이란 용어적인 정의는 증권 현물을 거래할 경우 또는 선물/옵션을 거래할 경우에 매매당사자 일방 또는 매매 당사자 쌍방이 매매약정을 이행한다는 증거로 중개회사에 예치하는 금액을 말합니다. 

 

용어적 정의로 살펴보면 잘 이해가 안가기도 하죠? 쉽게 풀어서 생각하면 일종의 보증금과 같은 형태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우리가 원룸을 월세로 구할 경우 보증금 1000만원에 월 60만 원짜리 방을 구할 때 보증금을 지급하여 월세를 내는 형태로 원룸에 살게 되죠? 이와 같이 증거금은 해당 주식 종목을 매수할 때 일정 비율을 보증금과 같이 지급하고 이후 나머지 금액을 지급하는 것입니다. 

 

보통 증거금은 주식 종목마다 다르며 시가총액이 크거나 많은 분들이 알만한 기업의 종목의 경우 증거금이 낮다고 합니다.

 

 

 

 마무리

저 역시 주식을 배우고 있는 입장이기에 주식을 하면서 접하는 다양한 용어에 대해서 아직도 생소합니다. 

오늘 정리한 예수금과 증거금은 주식을 시작하는 주린이 입장에서 제일 쉽게 접하면서 헷갈리기 쉬운 용어라고 생각합니다.

예수금과 증거금에 대한 정확한 정의를 인지 하시고 건강한 투자를 통해 수익을 얻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