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식 양도의 정의와 주식 양도 소득세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Ψυ 2021. 6. 2.
반응형

한 기업의 총수가 보유하고 있던 주식을 자식과 부인을 비롯해 친척들에게 양도했다는 뉴스를 접하기도 합니다. 멀리 보지 않아도 주식을 양도하는 사례는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주식 양도하는법과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식양도세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주식 양도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매매나 증여등의 법률적인 행위에 의하여 이전하는것을 뜻합니다. 주식을 양도하면 양도받는 사람에게 해당 주식에 대한 권리 모두 이전됩니다.  주식을 보유한 주주의 권리를 인정하고 있으므로 주식양도의 권리 또한 인정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는 주식 양도에 대한 자유는 보장하나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양도를 제한합니다. 

  • 권리주의 양도제한
  • 주권발행전 주식양도
  • 자기주식의 취득제한
  • 자회사의 모회사주식의 취득제한
  • 정관에 의한 주식양도 제한

 

주식 양도소득세 

주식도 자산이므로 양도 혹은 보유를 통한 소득이 발생한 경우 세금을 내야합니다. 

주식 양도소득세의 경우에는 국내 주식과 해외주식이 다르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국내주식 양도소득세 내야하는 케이스

  • 일반적으로는 대주주
  • 상장되어 있는 주식을 주식거래 시장을 거치지 않고 양도 하는 경우 
  • 비상장된 주식을 양도하는 경우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내야하는 케이스 

  • 보유하고 있는 해외주식을 매도하여 수수료를 제외하고 250만원이상의 소득이 발생하였다면 해당 초과된 금액에 22%의 비율만큼 소득세를 내야합니다. 

주식 양도소득세는 홈택스를 통해서도 손쉽게 지급이 가능합니다.

 

주식 양도가 제한되는 경우를 꼼꼼하게 따져본 뒤 진행하며 주식 양도를 통해서 발생하는 세금은 경우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주식 양도를 진행하때는 세심하게 알아보고 하는것이 좋겠습니다.